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미완성인 재외동포청

730만 재외동포의 숙원이던 재외동포청이 6월 5일 출범한다. 이에 앞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재외동포를 위한 ‘재외동포기본법’이 국회에 계류되어 있다는 것이다. ‘재외동포기본법’은 재외동포청 출범과 함께 제정 입법이 필요하다. 이 기본법에는 재외동포 정체성 함양 및 모국과의 유대감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재외동포협력센터를 설립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재외동포청을 뒷받침할 ‘재외동포기본법’이 아직 법제화되지 못한 것이 아이러니하다.   또 하나는 재외동포청 청사가 어디에 세워질지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재외동포청 청사 유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도 치열하다. 730만 재외동포를 위한 청사를 놓고 인천시와 광주광역시, 제주도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조직적인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는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이 있는 인천이 해외 동포들이 한국을 찾을 때 가장 먼저 찾는 지역이라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편의성과 접근성을 고려했을 때 최적지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허식 인천시의회 의장은 “인천은 세계 최고의 공항과 훌륭한 광역교통망을 지니고 있다”며 “역사적 당위성과 지리적 편의성, 그리고 전국 최대 규모의 경제자유구역을 기반으로 한 경제 인프라를 모두 갖춘 인천이 재외동포청이 들어설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재외동포 사회는 거주국에 따라 각기 다른 의견을 가진 것 같다. 종합해 보면 대체로 비즈니스와 출신지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는데, 미주지역 동포들은 서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임스 안 LA한인회장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을 방문하는 재외동포들은 대부분 서울에 머물면서 볼일을 보고 있다”며 “수혜자인 동포들에게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기관이라면 당연히 접근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외동포청은 중앙정부가 있는 서울이 접근성으로는 최적지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편의성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재외동포청은 서울에 있는 외교부 산하 청으로서 어느 지역에 있어도 상관이 없다. 그러니 관련 주무 부서와의 원스톱 서비스를 고려해서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재외동포청과 관련해 재외동포들의 권익 신장과 함께 편의성 문제도 숙고해야 한다. 각 부처에 분산된 동포 관련 업무와 민원을 일괄적으로 조율해 처리하기 위해서는 재외동포청이 관련 부서가 모여 있는 종합청사를 중심으로 위치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물론 접근성과 상징성 면에서는 서울이 최적지라고 하겠지만, 업무 효율성과 민원 처리 편의성 면에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730만 재외동포가 그토록 바라던 재외동포청은 각 부처로 분산된 법무·국방·세무·교육 등 다양한 민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창구’ 역할이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면 우선 서울·과천·대전·세종 등 4대 정부종합청사가 있는 지역이 합당하다.     현재 외무부는 서울 청사에, 병무청과 관세청은 대전에, 교육부와 국세청은 세종에 있다. 그렇다면 재외동포에게 필요한 주요 부서는 대전과 세종시에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전과 세종은 한밭이라는 한 울타리 안에 있다. 재외동포청 자체가 외무부 산하에 있기에 외무부와의 거리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사업차 방문은 서울이 중심이 되겠지만, 전국 각지에서 2시간 안팎이면 다닐 수 있는 대전이 최적격 아니겠는가.   재외동포청이 재외동포의 정체성 함양 및 모국과의 유대감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기관이라면 ‘재외동포기본법’ 제정과 함께 청사가 위치할 지역도 중요하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재외동포청 미완성 재외동포청 청사 재외동포청 출범 재외동포 정체성

2023-04-10

“동포청 설립안 2월 국회 통과돼야”

김태호(사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8일 “재외동포청 설립 정부조직 개정안은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여야에 촉구했다.   위원장에 선출된 지 두 달을 넘긴 김 위원장은 “국회가 아직도 개정안을 처리하지 못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재외동포청 설립은 750만 재외동포의 숙원인데다 여야가 공감하는 사안인 만큼 무슨 일이 있어도 이번에는 통과시킨다는 각오로 협상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여가부 폐지, 재외동포청 설립, 보훈부 승격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현재 재외동포청 설립과 보훈부 승격에는 여야 모두가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지만, 여성가족부 폐지 문제로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재외동포청 설립안이 이번 임시 국회에서 통과되고 공포되면 2개월 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재외동포청 청사의 위치, 재외동포재단 직원의 고용 승계 문제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윤곽이 언제 뚜렷해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는 재외동포청을 재외동포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기구로, 외교부 산하 외청으로 둔다는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각 부처에 산재해 있던 재외동포 관련 업무가 재외동포청으로 일원화되고, 재외동포재단의 한계로 지적됐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재외동포 정책 수립 기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앞으로 재외동포들의 편의와 수요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서 잘 설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내년 22대 총선에서는 재외동포를 대변할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그는 “비례대표 제도가 존치하는 한, 재외동포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본다”며 “여야 정당들이 재외동포 비례대표 추천을 구색 갖추기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재외동포 권익을 대변할 인물을 당선권에 배정해서 실제로 22대 국회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현재 65세 이상 재외동포에만 이중국적을 부여하고 있는 데 대해서 그는 “여야 정당들도 이중국적 허용 연령을 하향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상당히 공감하는 상황”이라며 “한덕수 총리가 밝힌 대로 정부도 이중국적 허용 연령 하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32대 경남도지사에 42세로 당선돼 최연소 광역단체장 기록을 가진 그는 국민의힘 3선 의원이다.     총 8번의 선거를 치르면서 2018년 지방선거 때 경남도지사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것을 제외하고 7차례 당선돼 ‘선거의 달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19대 국회 후반기와 21대 국회에서 줄곧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김은별기자동포청 국회 재외동포청 설립안 재외동포청 청사 현재 재외동포청

2023-02-09

“동포청 설립안 2월 국회 통과돼야”…김태호 국회 외통위원장 촉구

김태호(사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8일 “재외동포청 설립 정부조직 개정안은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여야에 촉구했다.   위원장에 선출된 지 두 달을 넘긴 김 위원장은 “국회가 아직도 개정안을 처리하지 못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재외동포청 설립은 750만 재외동포의 숙원인데다 여야가 공감하는 사안인 만큼 무슨 일이 있어도 이번에는 통과시킨다는 각오로 협상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여가부 폐지, 재외동포청 설립, 보훈부 승격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현재 재외동포청 설립과 보훈부 승격에는 여야 모두가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지만, 여성가족부 폐지 문제로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재외동포청 설립안이 이번 임시 국회에서 통과되고 공포되면 2개월 후 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재외동포청 청사의 위치, 재외동포재단 직원의 고용 승계 문제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윤곽이 언제 뚜렷해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는 재외동포청을 재외동포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기구로, 외교부 산하 외청으로 둔다는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각 부처에 산재해 있던 재외동포 관련 업무가 재외동포청으로 일원화되고, 재외동포재단의 한계로 지적됐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재외동포 정책 수립 기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앞으로 재외동포들의 편의와 수요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서 잘 설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내년 22대 총선에서는 재외동포를 대변할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그는 “비례대표 제도가 존치하는 한, 재외동포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본다”며 “여야 정당들이 재외동포 비례대표 추천을 구색 갖추기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재외동포 권익을 대변할 인물을 당선권에 배정해서 실제로 22대 국회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현재 65세 이상 재외동포에만 이중국적을 부여하고 있는 데 대해서 그는 “여야 정당들도 이중국적 허용 연령을 하향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상당히 공감하는 상황”이라며 “한덕수 총리가 밝힌 대로 정부도 이중국적 허용 연령 하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32대 경남도지사에 42세로 당선돼 최연소 광역단체장 기록을 가진 그는 국민의힘 3선 의원이다.     총 8번의 선거를 치르면서 2018년 지방선거 때 경남도지사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것을 제외하고 7차례 당선돼 ‘선거의 달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19대 국회 후반기와 21대 국회에서 줄곧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류정일 기자 ryu.jeongil@koreadaily.com재외동포청 김태호 재외동포청 설립안 김태호 재외동포청 재외동포청 청사

2023-02-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